audio file

2015. 6. 20. 22:22programming/etc




기본적인 음성(노래 등등)은 아날로그 신호다.


이 아날로그 신호는 컴퓨터가 알아들을수 없기 때문에 컴퓨터가 인식 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 해주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표본화(sampling), 양자화(quantization), 부호화(coding)를 통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표본화는 시간축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 간격으로 데이터를 표본화 시킨다.

 

그림으로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이때 표본화 된 값은 실수 값이다. 이 실수 값을 정수 값으로 변환시켜주는 것이 다음 단계인 양자화 과정이다.






이렇게 양자화를 마치면 컴퓨터가 알아 들을 수 있는 2진수(0과 1로 이루어진)로 바꾸어 주는것이 부호화 단계이다.






이렇게 생성된 음성 데이터가 압축없이 저장된 포멧이 .wav


파일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 각각의 인코딩 방식으로 변환된 것이 .mp3, .aiff  등등 파일 포멧이 존재한다.


여기까지가 마이크를 통해서 computer inside에 저장되기 까지의 과정이다.




디지털 신호를 아닐로그 신호로 바꾸어 주는 것이 sound card(audio card)의 역할이다.


이 출력 아날로그 신호가 증폭기, 헤드폰 혹은 외부 장치로 전달 된다.











출처 : 


http://www.crutchfield.com/S-xy48XZqS61Q/learn/learningcenter/home/mp3.html

https://en.wikipedia.org/wiki/Digital_audio

'programming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용어 정리 - 용도 지역  (1) 2023.04.02